N022 임포스터 키친 코코 킬링 아일랜드 분점

소개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 임포스터 키친은 2022년 11월 역사와 예술, 생태 담론이 어우러진 관광지 코코 킬링 아일랜드에 지점을 열었다. 미식에 대한 독특한 접근법과 장내미생물 실험으로 이름난 임포스터 키친은 기후 변화를 해결하고 쓰레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된 이 섬에서 미래의 둥지를 틀었다.

인도양에 위치한 실제 코코 킬링 섬(또는, 코코스 제도)을 본뜬 코코킬링 아일랜드(Koko Killing Island)는 임포스터 키친의 N세기 뒤 요리 창작물을 위한 장소로서 기능한다. 이 글은 임포스터 키친 코코 킬링 아일랜드 분점의 기원과 메뉴, 그리고 로 구체화된 섬의 관광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A panoramic view of the Koko Killing Island branch of Imposter Kitchen.

임포스터 키친 역사

임포스터 키친은 인공장기(organoid)와 장내미생물(microbiome)에 대한 연구가 대한민국에서 활발히 이루어지는 기간인 2022년에 설립되었다. 당시 임포스터 키친은 디저트에 사용하기 위해 코코 킬링 아일랜드에서 과일을 수입하곤 했다. 그러나 기후 위기가 악화되면서 N세기 뒤 식당은 섬으로 영구 이전했다.

임포스터 키친의 조리 방법론은 기본적으로 미생물학적 기술에 초점에 두며, 상당히 과학적이다. 코코 킬링 아일랜드 이전 시점 기준으로 300년 넘게 요리를 해온 셰프는 세포 단위로 미생물을 배양하고 노화시키는 독특한 안티에이징 루틴을 사용한다. 또, 셰프는 스테이크 숙성 기술을 장내미생물(microbiome)을 사용하는 등 매우 미생물학적인 접근법을 취한다.

임포스터 키친 코코 킬링 아일랜드 분점

임포스터 키친의 코코 킬링 아일랜드 분점은 여느 곳과 다른 파인 다이닝 경험을 제공한다. 레스토랑 주변 바다의 전망을 제공하는 반잠수식 바위 층에 위치해 있다. 식당 내부는 지속 가능한 재료를 활용하여, 고급스러우면서도 환경 친화적으로 설계되었다.

임포스터 키친 코코 킬링 아일랜드 분점 입구 모습

임포스터 키친 코코 킬링 아일랜드 분점의 메뉴는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마이크로바이옴을 접목하는 등, 미식학 관점에서의 실험성이 높다. 임포스터 키친의 대표적인 요리는 섬에서 재배된 장내미생물을 사용하여 숙성한 스테이크이다. 또 다른 요리로는 섬에서 자란 과일에 마이크로바이옴을 주입한 디저트가 있다.

메뉴

임포스터 키친 코코킬링 아일랜드 분점의 메뉴는 지역 재료와 지속 가능한 요리 방법을 사용하는 데 중점을 둔다. 대표 코스 요리로는 해산물 플래터를 꼽을 수 있는데, 이는 주변 해역에서 잡은 신선한 생선을 다양한 독특한 소스와 토핑으로 조합한 것이 특징이다. 다른 주목할 만한 요리로는 현지에서 양식된 버섯으로 만든 버섯 타르타르가 있다. 코코넛과 팬단 아이스크림을 디저트 코스로 제공하기도 한다.

코코 킬링 아일랜드 관광객들에게 제공되는 임포스터 키친 3코스 요리

임포스터 키친의 메뉴의 가장 흥미로운 측면 중 하나는 인공장기(organoid)와 장내미생물(microbiome)의 사용이다. 이 미세한 물체들은 식당의 요리에서 독특한 맛과 질감을 만들어내는 데에 사용된다. 이 곳에 이전한 임포스터 키친의 셰프는 요리 기술을 연마하는데에 100년 이상을 보냈고, 그 요리들은 혁신적이고 맛있다는 평이다.

이 식당의 스테이크 에이징 기술은 셰프의 안티에이징 루틴이 세포 단위로 미생물을 배양하고 숙성시키는 전과정을 포함하며, 이는 미생물학적 공정 과정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셰프는 참고로 S대 생명공학 박사과정을 자퇴한 자다.

지속가능성과 폐기물 감소

코코킬링 아일랜드에 있는 임포스터 키친 지점은 지속가능성과 음식물 쓰레기 최소화에 전념하고 있다. 이 식당은 가능한 한 현지에서 재료를 조달하며, 섬 자체에서 재배되는 많은 과일과 채소를 조리한다. 이 식당은 또한 자체 퇴비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생분해성 포장재와 식기류를 사용한다.

그 식당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헌신은 레스토랑의 전반적인 디자인으로도 확장된다. 예를 들어, 레스토랑 내부는 자연 채광과 환기가 가능한 에너지 효율적으로 설계되었다. 또,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빗물 수집과 폐수 처리 시스템을 사용한다.

임포스터 키친에서의 관광 체험

코코킬링 아일랜드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임포스터 키친에서 섬과 명소를 가상으로 탐험할 수 있는 3D 퍼포머티브 장치-환경인 〈식도락 투어〉 를 통해 독특한 미식 경험을 할 수 있다. 〈식도락 투어〉는 방문객들에게 훌륭한 식사와 지속 가능한 관행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코코킬링 아일랜드의 임포스터 키친은 실제로 섬의 관광 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레스토랑의 독특한 메뉴 제공과 혁신적인 요리 기술은 전 세계의 음식 애호가들을 끌어들였고, 지역 관광을 홍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 코코 킬링 아일랜드 방문객들은 섬의 역사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탐험하는 동안 이 곳에 방문하여 독특한 요리 경험을 즐길 수 있는 식이다.

코코 킬링 아일랜드의 〈식도락 투어〉 관광 가이드는 임포스터 키친의 코스 요리, 그리고 셰프에 대해 이렇게 소개하곤 한다:

여기 스테이크 에이징 테크닉이 아주... 뭐랄까...미생물적이에요!

여기 셰프님 벌써 300살 넘었는데, 자신의 안티에이징 뷰티 루틴으로 장내미생물 세포 단위로 한 올 한 올 배양해서 에이징하는게 비법이래요.

근데...누구의 장내미생물을 어떻게 채집한건지...음...비밀!

아이고 걱정마세요. 이상한 재료 안썼을 거에요.

여기 셰프님 생긴건 안그래 보여도 S대 생명공학과 자퇴하고 요리 연구만 몇 백 년을 하셨던 분이라 자신의 요리에 엄청 까다로와요.

〈식도락 투어〉 관광 가이드

〈식도락 투어〉 가이드는 K-코코킬링 언어, 즉 한국어와 코코말레이어, 영어 등이 결합된 미래의 언어를 구사한다. 이 가이드는 현대아트랩과 주한독일문화원의 지원을 받아 ZKM이 주최한 《Entangled Transparency 3.0》 학회에서 '언어의 비지역성'에 대한 생각을 들려주기도 했다.

이처럼, 임포스터 키친은 코코 킬링 아일랜드 주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 농어민들을 지원하는 등 지역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임포스터 키친의 초점은 또한 섬의 환경 보존 노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요약

코코킬링 아일랜드에 있는 임포스터 키친 지점은 훌륭한 식사와 지속 가능한 관행의 미래에 대한 사변이다. 미생물학적 기법과 지속가능한 소싱에 초점을 맞춘 레스토랑은 다른 레스토랑과 차별화되며, 폐기물과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은 지속가능한 관광의 모델이 된다. 세계가 기후 변화의 영향과 계속해서 씨름하고 있는 가운데, 임포스터 키친은 보다 지속 가능하고 환경을 의식한 미래를 엿볼 수 있다.

코코킬링 아일랜드에 있는 임포스터 키친의 지점은 그 섬의 관광 산업에 독특함과 혁신성을 덧댄다. 현지 식재료와 지속 가능한 조리법을 중점적으로 활용한 점은 물론, 인공장기(organoid)와 장내미생물(microbiome)을 활용한 점이 여느 곳과 다른 요리 경험을 만든다. 의 경제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또한 두드러져, 코코 킬링 아일랜드의 공동체에 귀중한 자원이 되고 있다.

본점 및 분점

Featured Review

후원

  • Imposter Kitchen’s branch on Koko Killing Island is a part of <Tour d’Epicure>(2022), a 3D performative apparatus-environement exhibited at curatorial collective Crypton‘s 《PROJECT HASHTAG: Koko Killing Island》 of MMCA Korea.
  • 2022 PROJECT HASHTAG was organized by MMCA Korea and sponsored by Hyundai Motor Car.
Inhwa Yeom
Inhwa Yeomhttps://yinhwa.art
Research Director at BiOVE | CPO at Imposter Kitchen

연관 기사

spot_imgspot_img

연관 기사

댓글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spot_imgspot_img
ko_KR한국어